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부동산 용어] 다세대주택, 다가구주택 (공동주택, 단독주택)

by haeyong2 2023. 4. 7.
반응형

부동산 용어에서 흔히들 헷갈리는 다세대주택, 다가구주택에 대한 용어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주택 유형은 크게 공동주택, 단독주택으로 분류되며, 다세대주택, 다가구주택도 크게 이 두 기준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 주택 유형 >


● 공동주택 (여러 세대)

< 아파트 > -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 (아파트)

< 연립주택 > - 주택으로 쓰이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 660㎡ 초과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 (빌라)                  

< 다세대주택> 
- 주택으로 쓰이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 660㎡ 이하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 (빌라)
*세대수는 19세대 이하                  

 


● 단독주택 (하나의 세대)

< 단독주택 >
통상 한 가구가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도록 건축된 주택 (단독주택)

< 다중주택 >
독립 주거형태가 아닌 다수인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 (하숙집)
바닥면적 합계 3300㎡ 이하
지상 3개 층까지 건축된 주택

< 다가구주택 >

여러 가구가 살 수 있는 구조 (원룸 건물)
바닥면적 합계 660㎡ 이하
층수가 3개 층 이하(1층이 필로티 구조로 주차장으로 사용할 경우 해당 층은 주택 층수에서 제외)
*세대수는 19세대 이하

 

 

저도 제가 지금 거주하고 있는 곳이 다세대주택인지 다가구주택인지 많이 헷갈렸었는데 이번에 제대로 이해하게 됐습니다!

부동산 공부를 하다가 잘 모르거나 이해가 안 가는 용어들은 바로바로 공부하는 게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블로그에 용어들을 정리해가며 공부해나갈 생각입니다.

여러분도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부동산 용어]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실면적

 

[부동산 용어]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실면적

부동산 공부를 하거나 부동산 방문, 계약할 때 흔히 접하게 되는 면적에 관한 용어 정리입니다.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실면적 등 많은 면적들이 있습니다. 공간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haeyong2.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