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 용어에서 흔히들 헷갈리는 다세대주택, 다가구주택에 대한 용어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주택 유형은 크게 공동주택, 단독주택으로 분류되며, 다세대주택, 다가구주택도 크게 이 두 기준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 주택 유형 >
● 공동주택 (여러 세대)
< 아파트 > -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 (아파트)
< 연립주택 > - 주택으로 쓰이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 660㎡ 초과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 (빌라)
< 다세대주택> - 주택으로 쓰이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 660㎡ 이하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 (빌라)
*세대수는 19세대 이하
● 단독주택 (하나의 세대)
< 단독주택 >
통상 한 가구가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도록 건축된 주택 (단독주택)
< 다중주택 >
독립 주거형태가 아닌 다수인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 (하숙집)
바닥면적 합계 3300㎡ 이하
지상 3개 층까지 건축된 주택
< 다가구주택 >
여러 가구가 살 수 있는 구조 (원룸 건물)
바닥면적 합계 660㎡ 이하
층수가 3개 층 이하(1층이 필로티 구조로 주차장으로 사용할 경우 해당 층은 주택 층수에서 제외)
*세대수는 19세대 이하
저도 제가 지금 거주하고 있는 곳이 다세대주택인지 다가구주택인지 많이 헷갈렸었는데 이번에 제대로 이해하게 됐습니다!
부동산 공부를 하다가 잘 모르거나 이해가 안 가는 용어들은 바로바로 공부하는 게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블로그에 용어들을 정리해가며 공부해나갈 생각입니다.
여러분도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부동산 용어]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실면적
[부동산 용어]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실면적
부동산 공부를 하거나 부동산 방문, 계약할 때 흔히 접하게 되는 면적에 관한 용어 정리입니다.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실면적 등 많은 면적들이 있습니다. 공간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haeyong2.com
반응형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용어]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실면적 (0) | 2023.04.10 |
---|---|
[부동산 손품] 서울시 노원구 (0) | 2023.04.08 |
[부동산 손품] 서울시 도봉구 (0) | 2023.04.05 |
[부동산 손품] 서울시 성북구 (0) | 2023.04.04 |
[부동산 손품] 서울시 강북구 (0) | 2023.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