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 정보

일자목/거북목/목디스크/흉곽출구 증후군 검사 및 평가 방법(목통증, 팔저림 원인)

by haeyong2 2023. 9. 6.
반응형

목통증, 팔저림

우리는 목의 통증이 있거나 팔이 저릴 때 크게 걱정을 하게 됩니다. 갑자기 이런 증상들이 나타난다면 그 원인이 궁금하실 겁니다. 일단 나의 목이 일자목이나 거북목은 아닌지, 원인이 목디스크인지 흉곽출구 증후군인지 확인해 보는 게 중요합니다.

 

정확하게 확인하는 방법은 병원에 내원해서  X-ray를 통해 우리 몸 상태를 검사하고 평가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 당장 병원을 가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어느 정도는 집에서도 자가로 평가해 볼 수 있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만약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추후에 병원을 내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일자목, 거북목

● 일자목 / 거북목

먼저 정상목일 경우 완만한 전만(C커브)의 형태를 이룹니다. 전만이 없고 목이 일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면 일자목으로 목 뒤의 근육과 인대가 늘어난 상태입니다. 또 다른 형태의 거북목은 목이 아래 중심선으로부터 앞으로 나온 형태입니다. 보통 일자목, 거북목이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 두 가지는 재활 접근 방식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확실히 구분 지어 주는 게 좋습니다. 간혹 더 심한 경우에는 일자목+거북목인 경우로 역 C자 형태의 목일 수도 있습니다.

셀프로 측정하는 방법은 1m 거리에 핸드폰 설치를 하여 내 몸을 촬영하는 것입니다. 제자리걸음을 10번 정도 하시고, 정면과 옆모습 사진을 찍습니다. 옆모습 사진을 봤을 때, 귓구멍이 어깨 선보다 앞에 있을 경우 거북목일 확률이 높습니다.  손가락으로 목 뒤의 정가운데에 댄 뒤 살짝만 턱을 들고 목을 만졌을 때(목의 긴장 풀어주기 위함) 경추가 잘 만져진다면 일자목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면에서 보았을 때 고개가 한쪽으로 기울어진 모습이 보일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는 운동보다는 거울을 통해 본인이 바른 체형으로 가져가도록 인지하는 연습을 하시는 게 좋고 평소 잘못된 습관, 환경을 고쳐야 합니다.

ex) 우세한 쪽의 눈이나 손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습관), 듀얼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환경)

 

목디스크, 흉곽출구 증후군

● 목디스크 / 흉곽출구 증후군

만약 팔저림이 나올 경우 원인은 디스크뿐만 아니라 흉곽출구 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두 가지 케이스는 교정하는 접근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꼭 평가해서 구분짓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경추는 총 7개인데 경추 5번부터 흉추 1번 사이에 나오는 신경들(상완신경총)은 모두 합쳐져 나오고 동맥을 따라 목~쇄골~겨드랑이~팔, 손가락 끝까지 뻗어나갑니다.

먼저 목 디스크란 목 사이사이에 있는 디스크 추간판이 목 뒤로 빠져나와 신경을 눌렀을 때를 말합니다. 혹은 디스크가 신경을 누르지 않지만 신경이 옆으로 나오는 간격이 좁아져서 신경이 압박될 수 있는데 이를 후관절증후군이라고 합니다. 목디스크가 터지면 주로 4, 5번에서 발생을 하는데 목의 가동성이 가장 큰 부분입니다. 신경이 눌리면 팔이 저린 이유가 경추 5번부터가 팔을 지배하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거북목 체형인 사람들은 주로 등이 굽고 어깨가 말려있는데 목 앞과 가슴 앞쪽의 근육이 긴장하게 되고, 평소에 흉식호흡을 하게 됩니다. 호흡을 짧게 하고 흉식호흡을 하게 된다면 목과 가슴의 보조호흡근들은 더욱 사용되고 긴장하게 됩니다. 이 긴장된 근육들은 겨드랑이에서 팔로 지나가는 신경과 동맥을 압박하게 되어 저릴 수 있는데 이를 흉곽출구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검사 및 평가 방법 

1) 흉곽출구 증후군 검사

흉곽출구 증후군 검사

바르게 앉은 자세에서 양쪽 팔을 90도로 만들어서 들어올리고 손을 쥐었다 폈다를 1분 동안 반복합니다.
문제가 있으신 분들은 팔에 힘이 빠지거나 저린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환자분들은 호흡운동이 필요합니다.

올바른 호흡법과 복식호흡 운동은 전에 올렸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올바른 호흡법(복식호흡 하는 방법)

저희가 살아가면서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호흡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평소 잘못된 호흡으로 인하여 우리는 목이나 어깨, 허리 쪽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호

haeyong2.com


2) 목디스크, 후관절 증후군 검사

목디스크 검사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등을 테스트하는 사람의 몸쪽으로 편하게 기대게 합니다.
양손의 깍지를 끼고 머리 가운데에 둔 뒤 아래쪽으로 지그시 눌러줍니다.
5초간 누르고 천천히 뗍니다.
팔이 저린다면 목디스크, 후관절 증후군일 확률이 높습니다.
만약 아무 증상이 없으면 턱을 살짝 들고 고개를 45도 정도 돌린 뒤 머리에서 가장 높은 부위를 아래쪽으로 지그시 눌러줍니다.
반대쪽도 똑같이 실행해줍니다.
한쪽이라도 저리거나 목의 통증이 있다면 똑같이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두 가지 테스트를 통해 팔이 저린 이유를 찾아보고 그 원인에 맞는 운동을 하시는 게 가장 이상적입니다. 지금까지 일자목, 거북목, 목디스크, 흉곽출구 증후군을 셀프로 자가진단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각각의 운동방법들도 나중에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올바른 자세 정리 - 바르게 자는 자세 / 바르게 앉는 자세 / 바르게 선 자세

 

올바른 자세 정리 - 바르게 자는 자세 / 바르게 앉는 자세 / 바르게 선 자세

1. 바르게 자는 자세 ① 천장 보고 자는 자세 기본적인 천장 보고 바르게 자는 자세입니다. 웬만하면 몸 전체가 틀어지지 않게 신경 써주시고, 몸에 긴장이 들어가지 않도록 힘을 빼준 상태에서

haeyong2.com

 

반응형